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 -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8:45본문
Download :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 -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hwp
2. 아이디의 도구적 실재론
이제까지 드라이푸스에 대한 논의에서 그의 논의과정 내에 있을 수 있는 problem(문제점)에 상대하여는 일부러 지적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의 논의선상의 부분적인 problem(문제점)들은 그의 논지의 중요성에 비할 때 지엽적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그의 논의과정 바깥에서 바라본 그의 논의의 전제에 대한 아이디의 지적은 주목할 만하다고 생각한다.컴퓨터시대에서의 인간세계의 변화에 대한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 이들의 논의를 설명하고, 해석하고, 비판하고, 비교하고, 연결시킴으로써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를 정립해 보고자 한다.참고자료로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 -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컴퓨터시대에서의 인간세계의 變化(변화)에 대한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 이들의 논의를 說明(설명) 하고, 해석하고, 비판하고, 비교하고, 연결시킴으로써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를 정립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우리는 컴퓨터를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문제는 잠시 덮어두더라도, 먼저 우리의 교육현실과 교육철학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Download :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 -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hwp( 88 )
참고자료(data)로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1. 드라이푸스의 인공지능비판
1.1 기능획득의 다섯 단계
1.2 지적인 행위에서의 신체의 역할
1.3 기계론적 접근과 전체론적 접근
1.4 인간의 부분적인 기능의 확대
2. 아이디의 도구적 실재론
2.1 인간과 컴퓨터의 세 관계
2.2 확대구조와 축소구조
2.3 컴퓨터와 인간의 공생적 연계
2.4 인간적 기능 바깥으로의 확대
맺는말: 기술적 인간학 서론
드라이푸스는 삶의 여러 영역에서 이러한 위험을 경고하고 있지만, 인간의 자기이해가 가장 강력하게 구현된다고 보이는 교육현장에서의 위험을 길게 강조하고 있따(MoM 122-57) 가상적인 교사(tutor)로서, 또는 남에게 어떤 것을 가르치는 것이 그것을 배우는 가장 efficacy적인 방식이라는 원리에 따라, 가상적인 학생(tutee)으로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인간을 `논리기계`(logic machine)로 만들 상당한 위험성을 가지지만, 교육전문가에 의해 진행되는 교육현장의 도구(tools)로 컴퓨터가 사용될 경우에는 기존의 책이나 칠판보다 월등하게 교육에 이바지하고 있고 할 것이라고 그는 진단한다. 아이디는 드라이푸스의 논의를 검토(IR 68-72)한 끝에 그의 논의를 이렇게 비판하고 있따 `확실히 컴퓨터의 `신체`는 우리의 신체와 다르기 때문에, 컴퓨터의 `생각`…(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컴퓨터시대의 인간의 위치 - 드라이푸스와 아이디를 중심으로
설명
다. 다소간 과장해서 말하자면, 우리는 드라이푸스가 경고하는 그러한 교육을, 학생을 논리기계로 만드는 교육을, 이미 실행하고 있따 우리는 컴퓨터를 교사로 사용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교육절차를 통하여 이미 학생들을 논리기계로 양산하고 있따 이러한 교육이 오늘 우리의 초미의 관심사인 국제경쟁력을 얼마나 떨어뜨리고 있을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따 드라이푸스가 맞다면, 우리는 현재 우리의 교육철학과 교육현실로서는 3등국가 즉 능력국가가 될 수는 있겠지만, 1등국가 즉 전문국가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