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역사) 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1:57본문
Download : [역사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hwp
왜냐하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고구려 미천왕 14년(313) 낙랑, 15년 대방을 수복했다고 했으니 분명 고구려의 입장에서 볼 때 낙랑, 대방의 순서로 거리가 떨어져 있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서(漢書)」에는 `낙랑군은 유주(幽州, 지금의 북경 일대)에 속해 있다`라는 기록으로 볼 때 대방이 낙랑 인근에 있었다면 한반도, 구체적으로 황해도 일대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마리는 「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에 `왜인은 대방의 동남에 있는 큰 바다에 있다(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라는 문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즉, 고구려 초기의 정복 활동으로 영토를 넓혀가던 와중에 정벌된 군현이나 약소 부족국가 중 하나로 한사군의 낙랑과는 엄연히 다르다고 하겠습니다. 이것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왜인(일본인)이 사는 땅(일본)은 대방의 동남쪽의 큰 바다에 있다` 라는 의미이고, 바꾸어 말하면 `일본의 서북쪽에 대방이 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삼국지가 편찬된 3세기 ...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郡)은 한무제가 BC 108년에 ...
순서
설명
역사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
다. 그 과定義(정의) 일부가 현재 요동 서남쪽 북경 인근 지역의 낙랑 정벌이고, 1년 남짓에 대방을 공격했으니(낙랑 313년 10월, 대방 314년 9월), 대방의 위치도 또한 그러한 고구려의 정복 활동을 고려할 때 낙랑의 서남쪽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위치는 낙랑보다 더욱 서남쪽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낙랑은 고구려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슬픈 러브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낙랑입니다.
Download : [역사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hwp( 8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郡)은 한무제가 BC 108년에 ...
![[역사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108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B%8C%80%EB%B0%A9%EA%B5%B0%EC%9D%98%20%EC%9C%84%EC%B9%98%EC%97%90%20%EB%8C%80%ED%95%98%EC%97%AC-1080_01.gif)
![[역사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108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B%8C%80%EB%B0%A9%EA%B5%B0%EC%9D%98%20%EC%9C%84%EC%B9%98%EC%97%90%20%EB%8C%80%ED%95%98%EC%97%AC-1080_02_.gif)



[history(역사) 학]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
대방군의 위치에 대하여.. 대방군(帶方郡)은 한무제가 BC 108년에 위만조선을 정복하고 설치한 한사군 중에서 낙랑군 다음으로 자주 거론되어 온 지역입니다. 더구나 고구려는 건국 초기부터 고조선의 옛 땅을 회복하려는 일념으로 요동의 서남쪽으로 진출하려고 부단히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낙랑은 현재 평안남도의 평양을 중심으로 하여 황해도 일원에 있었다고 알려졌기에 대방도 인접해 있었을 것이라 여겨 황해도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