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의 정의(定義)와 槪念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0:57
본문
Download : 민화의 정의와 개념 정리.hwp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
설명
레포트/예체능
Download : 민화의 정의와 개념 정리.hwp( 30 )
1. 민화의 어원
2. 민화의 별명
“민화라는 definition 은 명확하지 않다. 어느 때, 柳宗悅, 河井寬次郞, 浜田庄司의 세사람이 여행중인 차안에서 잡담중에 만들어 낸 말로서 민예의 뜻을 가지고 있따”
그러므로 국적도 용도도 모르고 샀던 골동품에 매료되었던 외국인이 차안에서 잡담끝에 만든 말로 자기 나라에서도 특정지역의 특수한 미술양상을 설명(explanation)했던 말이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민화라는 말인 셈이다. 필요한 분에게 여러모로 도움이 되셨음 합니다. 필요한 분에게 여러모로 도움이 되셨음 합니다. 그런 까닭에 Japan에서 민화라는 이름은 정착되어 있지 아니하다. 그러한 틀에 박힌 그림들도 역시 뜻이 있으며, 그리는 자들은 그 의미를 모르고 그린다.
2. 민화의 별명
옛이름으로는 속화 별화 등이 있따
이규경( 1788- 1865? )은 『 오주연문장전산고 』 에서 속화를 introduce한다. ”
조자용은 문인화가 아닌 세속적인 그림을 부정하는 용어라 하였고 무당의 무신도, 절의 탱화, 장식용 병풍, 부적화 따위의 세속적 주제를 주로 한 공예적 실용화를 모두 합한 이름…(생략(省略))
민화의 정의와 개념에 대해서 민화의 어원과 별명 등에 대해서 정리한 레포트입니다. ^^민화의정의와개념정리 , 민화의 정의와 개념 정리예체능레포트 ,
순서
민화의 정의(定義)와 槪念 요약
,예체능,레포트
다. 다들 좋은 report 쓰시길 바랍니다. 그러므로 나는 여기 몇 가지 아는 것을 적어서 아이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민화의정의(定義)와槪念요약
민화의 정의(定義)와 槪念에 대해서 민화의 어원과 별명 등에 대해서 요약한 report입니다.
“우리나라 여염집의 병풍 족자 또는 벽에는 속화가 붙여진다.